반응형
살인적인 더위 속 생명을 지키는 필수 정보
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더운 날씨를 떠올리지만, 최근 몇 년간의 여름은 단순한 '더위'를 넘어선 살인적인 폭염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한 기온이 반복되면서 온열질환 환자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위협적인 폭염 속에서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온열질환 종류별 증상과 예방 수칙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열질환이란 무엇인가?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땀을 통해 체온이 자연스럽게 조절되지만, 습도가 높거나 장시간 더위에 노출되면 땀의 증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체내 열이 축적되어 건강에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대표적인 온열질환과 증상
1. 열사병 (Heat Stroke)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하며 의식 저하 또는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땀이 거의 나지 않으며 피부는 건조하고 뜨거워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빠른 응급조치가 없다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2. 열탈진 (Heat Exhaustion)
어지럼증, 메스꺼움, 극심한 피로감이 동반됩니다. 열사병보다는 덜 위험하지만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열경련 (Heat Cramps)
팔, 다리, 복부 근육에 통증성 경련이 발생합니다. 수분과 전해질 보충으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4. 열실신 (Heat Syncope)
어지럼증과 순간적인 실신이 특징입니다. 갑작스러운 체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열발진 (Heat Rash)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피부에 작은 붉은 발진이 생기고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고위험군은 누구일까?
- 65세 이상 고령자: 체온 조절 기능이 약해 더위에 취약
- 심혈관질환, 당뇨병 환자: 고온 환경에서 합병증 위험 증가
- 영유아: 땀샘 미성숙으로 체온 조절 어려움
- 실외 노동자, 운동선수: 장시간 햇볕 노출
- 에너지 취약계층: 냉방이 어려운 환경에 노출
온열질환 예방법, 이것만은 꼭 지키자!
- 물 자주 마시기: 생수 또는 이온음료 권장
- 외출 시간 조절: 12~17시 외출 자제
- 시원하고 가벼운 복장 착용: 통풍이 잘되는 옷
- 실내 온도 유지 및 환기: 26~28도 유지, 환기 자주 하기
- 무더위 쉼터 활용: 공공시설 적극 이용
- 야외 작업 시 규칙적인 휴식: 15~20분 간격 휴식
- 차량 내 방치 금지: 반려동물, 아이 절대 방치 X
- 가정 내 노약자 상태 확인: 하루 2~3회 건강 체크
온열질환 의심 시 응급조치
-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
- 의복을 느슨하게 풀고 체온 낮추기
- 의식이 있으면 물 또는 이온음료 제공
- 의식이 없거나 고열, 경련 시 119 신고
폭염은 더 이상 단순한 불쾌지수가 높은 날씨가 아닙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재난입니다. 특히 고령자, 어린이, 야외 근무자는 평소보다 더 많은 관심과 보호가 필요합니다. 작은 실천이 큰 위험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올여름, 온열질환 예방 수칙을 생활화하고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데 함께 해주세요.
"폭염은 자연재해입니다. 예방이 곧 생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