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원인·증상·치료와 생활 속 예방법 총정리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발작과 함께 귀가 먹먹하고 이명이 동반된다면 메니에르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귀 속 내림프액이 과도하게 쌓이면서 발생하며, 반복적인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메니에르병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그리고 생활 속 관리와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메니에르병이란?
메니에르병은 내이(內耳)의 내림프액(Endolymph)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발생하는 만성 귀 질환입니다. 내림프액 압력이 높아지면 평형감각과 청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과 와우가 영향을 받아 현기증, 청력 저하, 이명, 귀먹먹함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2. 주요 증상
- 돌발성 어지럼증: 수십 분~수 시간 지속되는 격렬한 어지럼증
- 이명: 귀에서 삐~ 소리나 웅웅거림
- 청력 저하: 초기에는 변동성, 진행되면 영구 난청 위험
- 귀 충만감: 귀 안이 막힌 듯한 압박감
3. 원인과 위험 요인
메니에르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내림프 수종: 내림프액의 흡수·배출 불균형
- 스트레스와 과로
- 수면 부족
- 고염식 식습관
- 유전적 요인
- 면역 반응 이상
4. 진단 방법
- 청력검사: 저주파 난청 여부 확인
- 전정기능검사: 평형감각 이상 여부 측정
- 증상 일지 기록: 어지럼증 발작 빈도·지속시간
- 뇌 MRI: 중추신경계 질환(뇌종양, 뇌혈관질환) 배제
5. 치료 방법
메니에르병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증상 완화와 발작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약물치료: 이뇨제, 항구토제, 진정제
- 생활습관 개선: 저염식,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 수면
- 전정 재활운동: 균형감각 회복 훈련
- 수술적 치료: 내림프낭 감압술, 청신경 절단술(중증 환자)
6. 생활관리 팁
- 하루 소금 섭취를 2g 이하로 제한
- 커피, 차, 초콜릿 등 카페인 줄이기
- 알코올, 흡연 자제
- 규칙적인 수면 습관 유지
- 어지럼증 발작 시 안전한 장소에 앉거나 눕기
- 발작 상황·음식·생활 패턴 기록하기
7. 예방 방법
- 저염식과 균형 잡힌 식단 유지
- 충분한 수분 섭취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혈액순환 개선
- 스트레스 관리(명상, 가벼운 요가 등)
- 과로와 수면 부족 피하기
8. 정리
메니에르병은 반복적인 어지럼증, 이명, 청력 저하를 유발하는 만성 귀 질환입니다. 완치가 어렵지만,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꾸준히 관리하면 발작 빈도를 줄이고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맞춤 치료를 위해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2025.09.30 - [분류 전체보기] - 이석증(BPPV) 원인·증상·치료와 생활 속 예방법 총정리
이석증(BPPV) 원인·증상·치료와 생활 속 예방법 총정리
갑자기 고개를 돌리거나 아침에 일어나면서 빙빙 도는 어지럼증을 경험한 적이 있으신가요?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이석증(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일
ato.yhsilver6.com